1)교의학(기독론) / 목요일

강의계획서

과목명

(한글) 교의학(기독론)

교수명

학점

시간

(영) Christology

권기관

3

3 

과목설명

성경에 계시된 그리스도의 위격과 신분과 직분을 중심으로 논의된 각종의 주제들과 사상들을 소개하고 그 것들을 비판하는 가운데 개혁주의적 입장에서 올바른 이해를 도출하여 정리함

강의목표

그리스도의 위격, 신분 그리고 직분에 대한 개혁주의정신 아래에서의 균형과 통일성있는 지식의 형성.

교수방법

강의와 토론

평가방법

출석:30%, 리포트 및 페이퍼 30%, 기말고사: 40%

주 교재

조직신학 루이스.벌코프

참고교재

교의학(박형룡); 개혁교의학(헤르만 바빙크); 구속사와 성경해석(게할더스보스); 기독교강요(존.칼빈); 계약신학과그리스도(팔머.로벗슨); 바르트 교의학개요(칼바르트,전경연 역)

 

강의 진행 계획

1주

기독론의 역사

8주

속죄의 성질

2주

그리스도의 명칭
그리스도의성질

9주

속죄에 대한 제 이론들

3주

그리스도의 일위성
루터파의 속성간 교류론,겸허설들,점진적 성육신론

10주

속죄의 목적
속죄의 범위

4주

비하의 신분

11주

그리스도의 중보사역
그리스도의 왕직

5주

승귀의 신분

12주

보강

6주

선지자직과 제사장직

13주

보강

7주

속죄의 원인과 필요성

14주

보강

15주

기말고사

과제물

주제별 이해와 비평(수시)
참고도서 및 논문 요약비평(3회 제출)

 

  2)구약학 / 화요일


   (1) 성경해석학


강의계획서

과목명

(한글) 성경해석학

교수명

학점

시간

(영) Biblical Hermeneutics

박길현

2

2

과목설명

성경을 해석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목적으로 개혁주의 성경해석학을 공부하도록 한다.

강의목표

문법적, 역사적, 신학적, 문예적 해석 이론을 이해하고 실제로 본문에서 이 이론들을 적용하면서 연구하도록 지도한다.

교수방법

위의 이론을 읽고 난 후 히브리어 본문과 헬라어 본문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하도록 한다.

평가방법

출석:30%, 학교공부 40%, 기말고사: 30%

주 교재

루이 벌코프, 성경해석학(개혁주의 신행협회); 그레이다누스, 성경해석학과 성경적 설교(상)(여수룬); 이한영, 구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IVP); 박길현, 계시역사적인 성경해석학,

참고교재

루이 벌코프, 성경해석학(개혁주의 신행협회); 그레이다누스, 성경해석학과 성경적 설교(상)(여수룬); 이한영, 구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IVP); 박길현, 계시역사적인 성경해석학,

 

강의 진행 계획

1주

문법적 해석(벌코프 성경해석학)

8주

신학적 해석과 그 실제(벌코프, 크레이다누스, 박길현)

2주

문법적 해석(벌코프 성경해석학)

9주

신학적 해석과 그 실제

3주

문법적 해석의 필요성의 실제: 본문들 조사 연구의 실제

10주

신학적 해석과 그 실제

4주

역사적 해석(벌크프, 크레이다누스)

11주

신학적 해석과 그 실제

5주

역사적 해석의 실제

12주

신학적 해석과 그 실제

6주

문예적 해석(크레이다누스)

13주

 

7주

문예적 해석(크레이다누스)

14주

 

과제물

주교재 세 권 읽고 서평(방학 전 기간)

 

(2) 오경 논의

강의계획서

과목명

(한글) 오경 강의

교수명

학점

시간

(영) Pentateuch

박길현

2

2

과목설명

구약과 관련하여 네 번째 학기로서 오경을 개괄적으로 다룬다. 계시역사의 첫 부분으로서 오경이 가지는 위치를 상고하면서 각 책과 부분들에서 논의점들을 중심으로 공부하고자 한다.

강의목표

오경의 계시들을 바르게 이해하고 현재 교회 청중들에게 설교화하기까지 거쳐야 할 논리적 과정들을 이해시키며, 설교화하도록 지도함을 목표로 한다.

교수방법

성경 본문을 주 텍스트로 하여 논의하며, 보조교재들을 참고서로 사용한다.

평가방법

출석:30%, 학교공부 40%, 기말고사: 30%

교 재

히브리 성경 및 영한 성경

참고 교재

세일헤머, 모세오경, 김동진역, 새순출판사;
박길현, 계시역사로 푼 창세기, bkbs.org. 출애굽기 레위기 강의안 참조; 롱맨, 구약서론; 기타 주석들

 

강의 진행 계획

1주

롱맨, 구약서론 창세기 읽기

제8

민수기,신명기와 신약의 관계

제2

창세기 본문에서, 창조, 홍수 사건과 계시역사적 의미

제9

민수기,신명기와 신약의 관계

제3

족장시대 계시의 내용과 특징

제10

민수기,신명기와 신약의 관계

제4

롱맨, 구약서론 출애굽기 읽기

제11

롱맨 구약서론 읽기

제5

출애굽 사건과 계시역사적 의미

12주

롱맨 구약서론 읽기

제6

시내산 계시의 이해와 계시역사적 의미(1)

13주

상동

제7

시내산 계시이해와 계시사적의미(2)- 레위기와 신약의 관계

14주

상동

과제물

오경 본문 읽기, 신약 인용구절 대조 연구(헬라어성경 부록 참고),서평: 박길현, 계시역사로 읽는 창세기 및 출애굽기, 레위기설교 작성 1.

 

3)신약학/ 월요일


(1) 마태복음강해

강의 시간 / 과목

일반서신(히브리서)

기타

1주

소개 및 강의 계획

 

2주

  히 1장

 

3주

히 2

 

4주

   히 3장

 

5주

 히 4장

 

6주

 히 5장

 

7주

 히 6장

 

8주

 히 7장

 

9주

 히 8장

 

10주

 히 9장

 

11주

 히 9장

 

12주

   히 10장

 

13주

   히 11장

 

14주

   히 12장

 

* 주교재 : 일반서신 · 요한계시록(신약의 구약사용 주석 시리즈) / 조지 H. 거쓰리 외3인(출판사 : CLC)
* 평가 : 출석 20%, 소논문 1편 50%, 기말고사 30%
* 소논문 제출일 :
12월 15일(주석 및 설교)

 

(2) 요한계시록 강해

 

시간/과목

요한계시록

기  타

1주

소개 및 강의 계획

 

2주

계 1-2장

 

3주

3-4장

 

4주

5-6장

 

5주

7-8장

 

6주

 8-10장

 

7주

 11-12장

 

8주

 13-14장

 

9주

 15-16장

 

10주

  17-18장

 

11주

  19-20장

 

12주

  21-22장

 

13주

상  동

 

14주

상  동

 

* 주교재 : 일반서신 · 요한계시록(신약의 구약사용 주석 시리즈) / 조지 H. 거쓰리 외3인(출판사 : CLC)
* 부교재 :
일반서신 · 요한계시록(신약의 구약사용 주석 시리즈) / 조지 H. 거쓰리 외3인(출판사 : CLC)
* 평가 : 출석 20%, 소논문 1편 50%, 기말고사(30%)
* 소논문 제출일 : 12월 15일(주석 및 설교)

 

4)역사신학(현대교회사) / 금요일

강의계획서

과목명

(한글) 현대교회사

교수명

학점

시간

(영) Modern Church History

최영식

3

3

과목설명

16C 종교개혁후 17세기에서 현대까지 교회사적인 흐름을 살펴본다.

강의 목표

종교개혁후 17세기에서 20세기까지 교회역사의 흐름을 살펴보고, 21세기의 교회역사를 전망해본다.

교수방법

강의와 토론

평가방법

출석:20%, 리포트 및 페이퍼 40%, 기말고사: 40%

주교재

후스토 곤잘레스, 현대교회사, 기독교 사상사

참고교재

김영재, 기독교 교리사, 교회와 신앙고백/ 윌리스턴 워커, 세계기독교회사
로저 올슨, 이야기로 읽는 기독교 신학/ 앨리스터 맥그래스, 신학의 역사

강의 진행 계획

제1주

17C정통주의-카톨릭,루터,개혁파

제8주

19C 신교 선교운동, 미국산 신흥교단

제2주

17C 초기이성주의

제9주

20C 신정통주의

제3주

18C 계몽주의

제10주

현대신학

제4주

18C 1차대각성, 감리교부흥운동

제11주

20C 근본주의

제5주

19C 자유주의 발흥

제12주

신복음주의

제6주

19C 성결운동,2차대각성운동

제13주

오순절운동/ WCC

제7주

오순절운동/ WCC

제14주

정리

제15주

기말 고사

과제물

1.독서 리포트 (   )
2.Term paper (주제는 수업 중 제시)

기타

학생은 주 교재를 매주 요약 정리한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비평 및 토론 주제 선정 목적)